내년 정부 예산안에 포함된 직장인 식비 지원 사업을 놓고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세금으로 직장인 밥값을 지원하는건 '포퓰리즘'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는 인구감소지역에서 3년간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용해 효과를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2일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 79억원 규모의 '직장인 든든한 한끼' 시범사업을 신규 편성했다.
해당 사업은 식생활 여건이 취약한 인구감소지역 산업단지 근로자와 중소기업 직장인 5만4000명을 대상으로 아침 또는 점심 식비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사업은 '1000원의 아침밥'과 '직장인 든든한 점심밥'으로 나뉜다.
아침식사의 경우 백반, 쌀국수, 김밥 등 쌀로 만든 식사를 1000원에 제공(1000원의 아침밥)한다.
5000원짜리 식사라면 정부가 2000원, 지자체와 기업이 각 1000원을 지원하면 직장인은 1000원에 아침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
점심식사는 근로지 내 외식업종에서 점심시간(11~15시)에 결제한 금액의 20%를 할인해 월 4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정부는 이런 지원으로 끼니 해결이 어려운 직장인들의 삶의 질 상승과 지역 경제 활성화, 쌀 소비 촉진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을 중심으로 직장인 식비 지원 사업에 대한 여론이 시끄럽다.
한 네티즌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저소득층이나 결식아동을 지원하는거면 몰라도 빚을 내서 직장인 식비를 정부가 내주는건 포퓰리즘"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네티즌은 "이 정책을 시행하면 해당 지역 식당들은 일제히 메뉴 가격을 올릴 것"이라며 "물가를 안정시켜 삶이 안정되도록 하는 게 정부의 역할인데 점점 정책이 산으로 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야당인 국민의 힘도 해당 정책에 대한 공격에 동참했다. 최보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정부가 이런 사업을 밀어붙이는 이유는 뻔하다. 밥값을 깎아주겠다는 달콤한 구호로 직장인 표심을 겨냥하려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