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자가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14년도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신상정보 등록대상자에 대한 성범죄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아동·청소년대상 전체 성범죄자는 3234명으로 2013년 2709명보다 525명(19.4%) 늘어났다. 피해자수는 3800명으로 집계됐다.
범죄유형별로 보면 ▲강제추행 1874명(57.9%) ▲강간 866명(26.8%) ▲성매매 강요·알선과 성매수 344명(10.7%) ▲음란물 제작 등 150명(4.6%)으로 나타났다.
전체 성범죄자 중 99.2%(3207명)가 남성이었으며 0.8%(27명)는 여성이었다.
성범죄자의 평균연령은 37.0세로 강간 범죄자는 10대(30.5%)와 20대(24.3%)가 많고 강제추행 범죄자는 40대(25.4%)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피해 아동·청소년의 평균연령은 14.4세였다.
성범죄자의 직업은 무직(25.3%), 사무관리직(17.9%), 서비스 판매직(14.8%), 단순노무직(13.2%), 생산기능직(8.2%), 학생(8.2%), 전문직(1.6%) 순이었다.
성범죄자 100명 중 15명(15.1%)가 재범이었고, 성범죄자 100명 중 44명(44.1%)가 다른 전과를 가지고 있었다.
법원의 최종심 선고 결과를 보면 전체 신상정보 등록대상자의 44.2%가 집행유예를 받았고, 33.0%가 징역형, 22.1%가 벌금형을 최종 선고받았다.
유기징역형의 평균형량은 강간 5년2개월, 강제추행 2년10개월, 성매매 강요 2년9개월, 성매매 알선 3년6개월, 성매수 2년6개월로 나타났다. 특히 강간의 경우 2013년 4년9개월보다 5개월 늘어나 전체적으로 처벌이 강화됐다.
김희정 여가부 장관은 "아동·청소년의 성을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양형 강화 필요성은 여전히 우리의 과제로 남아있다고 생각한다"며 "아동·청소년 대상 강간범죄 형량 강화와 예방 교육 내실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가출 청소년에 대한 보호 조치를 강화해 성범죄에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