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시설의 8.7%는 운영 상태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자치단체가 직영체제로 운영 중인 시설이 민간위탁시설에 비해 현저하게 질이 낮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노인복지관·양로시설·사회복지관·한부모가족복지시설 등 4개 유형 사회복지시설 839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사회복지시설 평가는 복지부의 위탁을 받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3년 주기로 실시한다. A~D와 F 등 5개 등급으로 나뉘며 A등급 일수록 시설 관리 상태가 우수하다는 의미다.
평가 결과 최우수에 해당하는 'A등급' 시설은 전체의 72.4%인 607곳이었다. 직전 평가연도인 2012년의 57.1%에 비해 15.3%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최하 등급인 'F'를 받은 시설의 비율도 6.6%(55곳)로 직전의 6.4%보다 높았다. 'D등급' 시설은 2.1%로 직전과 같았다. 사회복지시설 100곳 중 9곳의 시설 운영이 미흡하다는 얘기다.
A등급 비율은 사회복지관이 82.5%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노인복지관(69.0%), 양로시설(59.1%), 한부모가족복지시설(44.8%) 순이었다.
F등급 비율로는 노인복지관(12.5%)이 가장 컸다. 사회복지관과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은 각각 5.4%, 1.0%였다. F등급을 받은 양로시설(0%)은 단 한 곳도 없었다.
2012년에 D와 F 등급을 받아 복지부로부터 서비스품질 관리를 지원받은 30곳 중 60.0%(18곳)가 작년 평가에서 등급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는 평균 88.8점이었다. 직전 평가때보다 2.0점 상승한 것이다.
사회복지관이 91.0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규시설이 가장 많았던 노인복지관이 85.2점으로 최하였다. 양로시설과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은 각각 89.7점, 87.3점이었다.
직전 평가 대비 점수 상승 폭은 양로시설이 3.1점으로 가장 높았다.
운영 주체별로는 지자체 직영시설이 평균 57.8점(75곳)으로 민간위탁시설 92.7점(602곳)에 비해 월등히 낮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직영시설에 대한 품질관리가 시급해 보인다"면서 "3월부터 하위등급 시설에 대한 서비스 품질관실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15년 평가 결과는 복지부(www.mw.go.kr)와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www.w4c.go.kr),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시설평가(www.cswe.co.kr) 홈페이지에도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