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는 ‘2030년 경주시 도시기본계획(안)’ 수립과 관련해 16일 서라벌문화회관 대강당에서 공청회를 열고 관계 전문가 및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한다.
이번에 개최되는 공청회는 2030년 경주시가 지향하여야 할 바람직한 미래상과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김철수 계명대 교수, 윤병길 경주시의회 의원, 권용일 대구한의대 교수, 김경대 경주대 교수, 윤대식 영남대 교수, 강태호 동국대 교수, 권오현 경실련 집행위원장이 패널로 출연해 도시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토론을 벌인다.
아울러 계획인구를 약 40만명으로 계획하고 생활권 기능을 연계한 균형개발을 위해 1도심, 4지구 중심으로 도시공간구조를 설정했다.생활권 계획 및 주요 발전방향은 1개의 대 생활권(경주시 전역)과 5개의 중 생활권(중심권·북부권·서부권·동부권·남부권)으로 ‘중심권’은 행정·업무·역사·문화·관광의 중심기능 수행, ‘북부권’은 유교역사와 산업이 결합된 도시기반 조성, ‘동부권’은 에너지와 해양을 연결한 차세대 해양·에너지산업지대 육성, ‘서부권’은 천혜자연을 활용한 힐링·생태·체험관광의 중심지, ‘남부권’은 자동차 신산업 거점조성, 주거환경 조성을 통한 자족기능 강화 및 고용창출 등 생활권별 발전방향을 수립했다.
토지이용계획의 경우에는 계획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각종 개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가화 예정용지 및 비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 개발수요 공급 계획을 반영했다.
김헌국 도시디자인과장은 ‘2030 경주도시기본계획 수립(안)’을 통해 경주시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기본틀을 다지고 세계적인 역사·문화·에너지의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며, 공청회 이후 시의회 의견청취와 경주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경북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금년 7월 최종 도시기본계획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