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신도청시대로 가고 있다. 신도청이 내륙에 있다. 내륙에 있는 탓에 경북도 동해안의 동남부권은 행정복지에서 소외로 갈 수가 있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를 어떻게 해소하는가에 따라 경북은 고르게 발전한다. 경북도는 도청이전을 앞두고, 도청 소재지와 멀어진 동남부권 주민들을 위해 ‘동해안발전본부’의 동해안 현장이전 입지선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7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켰다. 입지선정 연구용역을 대구·경북연구원에 의뢰했다.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동해안발전본부 이전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경북도는 도청 제1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겸 동해안발전본부 이전추진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공정한 입지평가를 위한 평가기준 마련과 입지선정 절차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동해안발전본부의 고유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행정거점 기능, 도청이전에 따른 경상북도 전체의 공간적 효율성, 지역균형성 등을 기본원칙으로 삼았다. 환동해안경제권 거점지역으로써 발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공정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평가에 반영키로 했다. 입지선정에서 공정함이란 행정, 경제, 복지, 문화 누림 등을 고려하겠다는 행정의지가 아주 중요한 대목이다. 지역의 고른 발전도모도 위와 같다. 신도청시대의 최대의 목적은 경북도의 미래발전이다. 동해안발전본부도 신도청시대와 같아야한다.
김현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동해안발전본부의 현장이전은 도청이전에 따른 지역균형발전과 환동해 경제권시대를 주도할 핵심프로젝트이다. 동남부권 주민들에 대한 행정서비스 질 향상이 목적이다. 독도를 비롯한 영토주권 수호와 동해안 바다시대를 열어가는 전진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독도와 동해안 바다시대도 동해안발전본부가 제 역할을 다해야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동해안발전본부가 또 하나의 도청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경북도는 이제부터 또 하나의 도청을 만든다는 해정의지로 가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