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단체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초등학생의 감염병 예방을 위해 입학생을 대상으로 4종 백신에 대한 예방접종 기록을 확인한다.
어린이가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만 6~7세의 시기는 영유아 때 받은 예방접종의 면역력이 점차 감소하는 때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만4~6세 추가접종이 필요하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만 4~6세 때 받아야 하는 ▲DTaP 5차(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폴리오 4차(소아마비) ▲MMR 2차(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일본뇌염(사백신 4차 또는 생백신 2차) 등 4종의 예방접종 완료여부를 입학 때부터 3개월간 확인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취학아동의 예방접종 내역은 교육정보시스템(NEIS)을 통해 학교에서 접종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가 취학예방접종 증명서를 별도로 제출할 필요는 없다.
다만 올해 3월 초등학교 취학을 앞둔 아동의 보호자는 입학 전 자녀의 예방접종 내역이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nip.cdc.go.kr) 또는 모바일 예방접종도우미 앱에 전산등록 돼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전산등록 여부는 인터넷 민원24(minwon.go.kr)와 예방접종 받은 의료기관(또는 보건소)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만약 빠진 접종이 있을 경우 입학 전까지 접종을 완료하면 된다.
또 예방접종을 마쳤지만 전산등록이 누락된 경우에는 접종 받았던 의료기관에 전산등록을 요청하면 된다.
다만 예방접종 받은 의료기관에서 전산등록이 안 될 경우에는 취학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 받아 학교로 제출하고, 예방접종 금기자의 경우는 진단 받은 의료기관에서 해당 어린이의 접종 금기사유가 적힌 취학아동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 받아 학교로 제출하면 된다.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관계자는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으로 학령기 아동의 접종률이 높아지면 교내 감염병 유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며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에서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이 전면무료로 시행되고 있으니 빠진 접종이 있으면 접종을 완료하고 입학해달라"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