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 통증으로 오래 걷기 힘든 '족저근막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5년간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족저근막은 발의 바닥에 넓게 퍼져있는 단단한 섬유성 결합 조직 구조물로 걸어다닐 때에 발을 올려주며,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3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족저근막염 진료인원은 2010년 9만1000명에서 2014년 17만9000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윤한국 교수는 "갑자기 운동량이 많아졌거나 걷기를 오래 한 경우 발생하기 쉬운데 최근 취미 생활의 증가로 인해 등산, 조깅, 에어로빅 등과 같은 운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족저근막염의 발생율도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014년 성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배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30대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로는 증감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여성은 50대(782명), 60대(618명), 40대(563명) 순으로 빈번했다. 40~60대를 살펴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이 확연히 많았다. 체중이 많이 나가고,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족저근막의 유연성이 감소할 수 있다.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려면 체중감소 및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등산, 골프, 달리기, 걷기와 같이 체중이 실리는 활동을 줄이도록 운동방법을 변경하는 것이 좋다. 또 평소에 족저근막 스트레칭 및 아킬레스 건 스트레칭을 통한 유연성 유지에 6개월 이상 꾸준히 관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건보공단은 전했다. 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