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배우 박소담(25)은 연극 '렛미인'에서 온몸으로 연기한다. 뱀파이어인 그녀는 어쩔 수 없이 인간의 피를 빨아먹고 절규하면서 몸부림을 친다. 소녀와 뱀파이어 등 다양한 정체성으로 인한 혼란의 감정을 토해낼 때 머리 끝부터 발 끝까지 진동한다.
활동량이 좋은 뱀파이어를 연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무브먼트'가 필수다. 나무와 정글짐을 척척 오르는 등 능숙하게 소화해 낸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출신인 박소담은 프로 연극 데뷔작인 '렛미인'이 체력적으로 힘들 법한데 "무대에 올라 또 한번 살아 있음을 느낀다"며 연신 싱글벙글이다. 아마추어 연극까지 합하면 그녀가 무대에 오른 건 2년3개월 만이다.
지난해에만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베테랑' '사도' 검은 사제들' 등 영화에 잇따라 출연하며 '대세 여우'로 떠오른 박소담은 프로 연극무대에서도 이름값을 하고 있다.
"연습실에서보다 바닥에 더 몸이 밀착해서 구르거나, 몸을 쓰는 장면이 더 많다. 근데 몸을 많이 쓰고 더 구를수록 아름다운 효과를 볼 수 있다. 무서운 장면인데, 몸 쓰는 것으로 인해 눈발이 휘날리니 더 풍부해지는 것이다."
스웨덴 작가 욘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의 동명 소설과 스웨덴 영화감독 토머스 알프레드슨(50)이 메가폰을 잡은 영화 '렛미인'(2008)이 바탕이다. 2010년 할리우드 버전으로 옮겨지기도 했다. 뱀파이어 소녀 '일라이'와 결손 가정의 외로운 소년 '오스카'의 잔인하지만 아름다운 사랑을 그렸다.
연극은 스코틀랜드 국립극단이 제작하고 역시 동명영화가 바탕인 뮤지컬 '원스'로 토니상·올리비에상을 받은 존 티파니가 연출했다. 이번이 한국 초연으로 라이선스 연극에서 드물게 레플리카 프로덕션이다. 원작 프로덕션의 모든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하는 공연 형태로 균일한 완성도를 느낄 수 있다. 티파니가 연극 개막 때까지 매만지고 갔다.
박소담은 연극을 '해피엔딩'이라고 해석했다. "물론 두 사람의 앞날은 험난할 지는 모는다. 근데 지금은 둘이 함께 하기에 잘 살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담고 싶다. 많이 힘들었던 두 인물이 손을 잡으면 그래도 힘을 얻고 살아간다고 믿고 싶다. 앞으로 얼마나 더 힘든 일을 겪을 지 걱정이고, 하칸 만큼 못살 수도 있다. 그래도 그들의 삶을 응원해주고 싶은 것이 지금의 마음이다." 극중 캐릭터를 부정으로 미리 재단하기 보다는 열린 마음의 긍정으로 응원해주는 마음에서 캐릭터에 대한 박소담의 진심이 느껴졌다. 그녀의 연기를 본 관객들이 하얀 뱀파이어가 붉은 사랑에 빠진 것처럼 생기가 도는 이유다.
2월28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일라이 박소담·이은지, 오스카 안승균·오승훈, 하칸 주진모. 프로듀서 박명성, 극본 잭손, 연출 존 티파니, 국내 협력연출 이지영, 무브먼트 디렉터 스티븐 호겟, 음악 올라퍼 아르날즈, 무대 디자이너 크리스틴 존스, 조명 디자이너 샤인 야브로얀, 음향 디자이너 가레스 프라이. 3만3000~7만7000원. 신시컴퍼니. 02-577-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