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비만 청소년, 비타민D 부족하면 지방간질환 악..
사회

"비만 청소년, 비타민D 부족하면 지방간질환 악화"

운영자 기자 입력 2016/02/02 18:13 수정 2016.02.02 18:13

 지방간염이 있는 비만 소아청소년의 혈액 내 비타민 D 농도가 낮을수록 비알콜성 지방간염질환 악화와 대사질환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양혜란 교수팀이 소아청소년의 지방간 질환과 비타민 D 상태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양 교수팀은 소아청소년에서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지방간질환과 비타민 D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동안 비타민 D가 뼈 뿐만 아니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같은 만성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은 있어왔지만 비만한 소아청소년의 비만 합병증인 비알콜성 지방간질환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밝히려는 시도는 없었다.
 연구팀은 비만한 소아청소년 환자 94명을 대상으로 지방간 질환의 유무와 상태에 따라 정상간(32명), 단순지방간(15명), 비알콜성 지방간염(47명)의 세 군으로 나누고, 비타민 D 농도, 골밀도 수치, 중성지방의 혈중농도, 간섬유화 점수 등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세 군 간에 비타민 D 농도나 골밀도수치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정상간 환자군에 비교해 단순지방간이나 비알콜성 지방간염이 있는 환자 군에서 염증수치(CRP), 인슐린 저항성 지표(HOMA-IR), 그리고 간섬유화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지방간염이 있는 비만한 소아청소년 군에서는 혈액 내 비타민 D 농도가 낮을수록 인슐린 저항성 지표 및 간섬유화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비만 합병증으로 비알콜성 지방간염이 발병한 소아청소년에서 혈액 내 비타민 D가 부족하면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키고 간섬유화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지방간염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근거한 체계적인 치료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양 교수는 "비만 소아청소년 환자의 비알콜성 지방간염에 악영향을 끼치는 인슐린 저항성을 저하시키기고 간섬유화의 진행을 줄이는 데 있어 비타민 D도 일부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를 통해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로서 확립된 기존의 비타민E 치료나 최근 제시되고 있는 오메가3, 정장제 치료처럼 향후 비타민 D 보충 역시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만 합병증으로 발병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식습관 개선이나 운동과 같은 노력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며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키는 생활습관 요인들을 개선해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JKMS)' 최신호에 게재됐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