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라면, 캔음식 등 가공식품 섭취가 늘며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실시한 '제2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전국에서 표본 추출한 400개 지역(읍·면·동 수준)의 만 19세 이상 성인 6500명을 대상으로 혈액과 소변 중에서 총 21종의 환경유해물질 농도를 분석했고 설문을 통해 가능성 있는 노출요인을 파악했다.
조사 결과 내분비계 장애 추정물질로 알려진 비스페놀-A의 소변중 농도는 1.09㎍/ℓ로 지난 조사에 비해 약 1.5배 증가했다. 이와 관련 컵라면, 캔음식 등 가공식품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미국, 캐나다에 비해 높지 않고 작년부터 강화된 건강영향 권고값(200㎍/ℓ)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금속중에서는 대기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 혈중 납 농도가 1.94㎍/㎗로 1기(1.77㎍/㎗)에 비해 9.6% 증가했다. 증가폭은 과거 10년간의 변동 폭을 넘지는 않았다.
혈중수은은 3.11㎍/ℓ로 지난 조사(3.08㎍/㎗)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건강위험성이 예상돼 노출 저감노력이 필요한 초과자(독일 건강영향 권고값,15.0㎍/㎗)는 121명에서 88명으로 감소했다.
혈중 수은은 미국과 캐나다에 비해 높았으나 우리나라와 식습관이 비슷한 일본과 홍콩보다는 낮았다.
소변중 수은과 카드뮴은 모두 0.38㎍/㎗, 0.38㎍/㎗로 제1기(수은 0.53μg/L, 카드뮴 0.58μg/L)에 비해 각각 28.3%, 34.5% 감소했다.
프탈레이트 대사체류와 코티닌 등 11종의 수치는 감소했다.
또 다른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인 프탈레이트 대사체 조사 결과,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대사체(MEHHP+MEOHP) 농도는 29.6㎍/ℓ로 지난 조사에 비해 18% 낮아졌고, 독일 건강영향 권고값(750㎍/ℓ)에 비해서도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또 직접 또는 간접 흡연에 의해 나타나는 소변 중 코티닌(니코틴 대사체, 5.5㎍/ℓ) 농도는 지난 조사(11.3μg/L)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설문 결과에서도 직접흡연이 22.5%에서 17.9%로, 간접흡연도 21.3%에서 15.2%로 감소했다. 금연구역지정 등 정부의 금연 정책 시행의 효과로 풀이된다.
이번 결과는 국가통계포털(www.kosis.kr)과 환경통계포털(stat.me.go.kr)을 통해 2월 중에 공개된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