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오늘의 窓]'한국사 국정화'의 실체 밝혀야 할 때..
사회

[오늘의 窓]'한국사 국정화'의 실체 밝혀야 할 때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9/21 14:59 수정 2015.09.21 14:59

 중·고등학교 한국사 국정화를 둘러싼 갈등이 이만저만 아니다.
교육부는 최근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과 검인정 두가지 모두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하루가 멀다하고 교육·시민사회에서 한국사 국정화에 대한 입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학교 현장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물론이고 전직 교장들, 대학교수들, 학부모들도 반대와 지지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대구·울산·경북을 제외한 14개 시·도 교육감까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며 반대하고 나섰다.
상황이 이런데도 교육부는 어떠한 공론화 장치 마련도 없다.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는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마치 '갈등 국면이 어디까지 가는지 두고 보자'는 심사가 아닌지 의심이 간다.
이 와중에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14일 교육부 출입기자들과 '번개 오찬'을 잡았다. 황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도 한국사 국정화에 대한 기존 입장을 강조하기만 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학생들에게 역사를 가르칠 때는 하나로 가르쳐야 한다"며 "공식적으로는 국정에 대한 여론이 높다"고 말했다.
황 부총리의 언급이 교육부의 공식입장인지 개인적 의견인지 알쏭달쏭한 것은 무었일까. 기자들에게 소위 '간'을 본 것 같아 씁쓸한 뒷맛을 지울 수가 없었다.
만약 세간의 이야기처럼 교육부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발행을 결정해놓고 검인정 발행도 가능하다고 발표한 것이라면, 이는 한쪽을 기만하는 '희망고문'에 불과하다.
교육부가 청와대와 국민의 눈치만 보고 있기에는 시간이 너무 없다. 교육부의 계획대로라면 국정 교과서는 2017년 3월부터, 검인정 교과서는 2018년 3월부터 적용된다. 국정의 경우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겨우 1년5개월이 남았다.
교육부가 하루라도 빨리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를 발표하고, 보수와 진보의 타협이 가능한 선에서 '제대로 된' 역사를 기술해야 할 것이다. 더 늦기전에 '희망고문'은 멈춰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