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와 하수도의 물 환경이 청결함과 비례적으로 시·도민들의 일상생활도 위생적이 된다. 상·하수도는 도시위생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이다. 상수도와 하수도는 상호간에 주고받은 역할을 하여,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수도가 불결하다면, 시·도민의 일상생활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여기에서 우선 하수도분야부터 청결로 가야만, 상수도도 청결하게 된다. 경북도가 지난 24일 내년도 하수도의 청결을 위한 예산을 전국 최다 금액인 4,712억 원을 확보했다. 올해보다 732억 원이 증액된 4,712억 원이다. 이 같은 예산은 국비(3,114억 원)이다.
경북도는 국비 예산으로 하수처리장 확충사업 709억 원 20곳, 하수관거 정비사업 1,307억 원 39곳, 농어촌 마을 하수도 정비사업 914억 원 50곳, 도시침수대응사업 294억 원 3곳, 하수처리수 재이용사업 311억 원 1곳, 노후하수관로정밀조사지원 32억 원 4곳,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76억 원 5곳, 기타사업 1,069억 원 30곳 등에 사용한다.
하나같이 중요한 사업이나, 눈에 띄는 사업은 농어촌 마을 하수도 정비사업, 도시침수대응사업, 노후하수관로정밀조사지원 등이다. 농어촌 마을은 아직까지 우리가 바라는 만큼 잘되지 못하고 있다. 도시침수대응은 약간의 비에도 물난리에 시·도민들은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겪었다. 이제부터 농어촌과 시·도민들도 삶의 질이 높아지게 되었다.
경북도는 그동안 시·도민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하수도분야 사업에 매년 4,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경북도는 현재 77.1%인 하수도 보급률을 2020년까지 85.1%까지 향상시킨다. 공공수역의 수질을 개선하여, 시·도민이 신뢰할 수 있는 물 환경 조성에 전력을 다하게 되었다.
한정된 물자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2018년까지 구미시하수처리장에 총사업비 1,010억 원을 투입한다. 낙동강에 방류되는 하수처리수 9만t을 정제 처리한다.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LG디스플레이, ㈜효성 등의 공업용수로 재이용하는 설치사업을 추진한다.
당대는 이미 물뿐만이 아니라 모든 천연자원의 고갈시대에 접어들었다. 자원의 고갈시대는 사람들의 일상생활도 고갈시대이다. 이럴수록 생활에 필수인 상수도든 하수도든, 재사용은 당대뿐만이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함이다. 당대가 자원 재사용을 잘못한다면, 우리가 미래세대에게 짐을 지우는 것에 진배가 없다. 경북도는 전국 최다인 예산으로, 전국 최고의 물 환경을 조성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