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신라지식인 및 중국내 신라유적조사 발굴 방안 논의
경주시는 천년 전 중국에서 왕성했던 신라문화를 재조명하고 한·중 신라지식인 관광자원화와 중국내 신라유적 조사 등 한·중 문화교류 확대 등을 위해 26일 오후 4시 대회의실에서 용역 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용역은 중국에서의 신라지식인 전체를 개괄하고 먼저 최치원에 대한 연구와 중국내 유적과 행로, 국내 유랑길에 대해 조사와 중국 내 신라방, 신라소 등 당나라시대의 신라인들이 활동한 흔적을 찾아 신라역사문화의 세계성을 규명해 한중 관광자원화를 위해 중국에서 활약한 신라지식인에 대한 연구와 중국내 신라유적 조사로 크게 구분된다.
특히 중국 상해, 소주, 양주 등과 국내의 경주향교, 독서당, 상서장, 합천 고운암, 해운대 등 최치원 선생의 활동 발자취 답사결과 등 최치원을 활용한 인문한류 콘텐츠 개발방향에 대해 토론이 진행됐다.
또한 중국 내 신라관, 신라방, 신라소, 신라원 등이 당나라에서 신라인들이 활동한 흔적이 있는 유적지로 현장 조사하여 다원화된 세계사적 관점에서 신라역사문화의 세계성을 규명하고 중국소재 신라관련 유적, 유물들의 DB구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신라유적의 관리와 보존책을 마련하여 창조경제의 인문한류 아이콘 육성·확산 방안도 논의했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현재의 세계적인 한류의 흐름을 보면 신라시대에서도 분명 한류가 세계적이었을 것이며 한중 문화교류 확대와 경주 요우커 관광객 유치 등 중국과 왕성한 신라 문화융성사업을 통해 인문한류의 무한한 잠재력을 현실로 키워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권경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