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장 근 ..
박 란 희 &..
독도는 고대시대 울릉도를 근거지로 한 우산국의 영역이었다가 512년 신라에 편입 되었고, 고려, 조선시대를 거처 오늘날 한국에 계승된 우리의 고유영토이다. 일제가 대한제국 말기 1905년 러일전쟁 중에 근대 국제법의 ‘무주지 선점’ 이론을 악용..
박란희 교수 우리는 살아가면서 누구나 행복을 꿈꾸게 된다. 하지만 행복을 느끼고 범사에 감사하는 일은 사람마다 그 척도가 다르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작은 재물과 소소한 일상에서 행복을 느끼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많은 재물과 권세를 가..
최 장 근 ..
박란희 &nb..
1900년 10월 25일 대한제국의 고종황제는 일제의 동해 도서 침략에 막기 위해 칙령41호로 ‘울릉전도, 죽도, 석도(독도)’를 범위로 ‘울도군’을 설치하여 ‘독도’의 ..
인간의 뇌는 얼마나 사용되어지고, 얼마나 많은 변화가 일어날까? 사람의 두뇌에 대한 연구는 최근 4~50년간 많은 연구 속에 비밀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지만 아직도 무궁무진한 신비한 영역이다. 출생 이후 청소년기까지 신경조직이 계속 생성되는 ..
지금까지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증거는 한 점도 없다. 한국측과 일본측 고문헌에서 모두 독도를 한국영토라고 했다. 1987년 호리 가즈오(堀和生) 일본 교토(京都)대 교수가 '1877년 제작된 태정관(太政官)지령'이라는 일본측 고문서을 공개했다..
미래사회에 인간으로 살아남기 위한 인재상은, 한 사람이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스스로 찾아가고, 그 가치가 개인의 가치를 넘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가치로 발전될 수 있도록 평생 학습하는 인재라 할 수 있다.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고차원의 문제해결능력, 다른 사람과의 ..
일본의 독도 영유권 날조는 고지도 고문헌 등을 왜곡하여 해석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행되고 있다. 인터넷사전 위키피디아에서 <일본(日本)>->을 검색하면 <일본역사>항목에 <일본 지도>로서 <화이일람도(華夷一覧図)..
학교 교육이 발달한 것은 19세기 산업혁명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이다. 4차 산업혁명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지금까지의 산업화 교육을 넘어서 새로운 교육체제를 마련하고 기술 발달에 의한 사회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우리는 그 안에서 새로운 인재상..
매년 4월 2일은 사이버범죄 예방의 날이다. 경찰청은 2015년 4월 사이버범죄 예방 활동에 대한 범국민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기억하기 쉽도록 사이버(Cyber)의 사(4)와 이(2)를 따서 이날을 사이버범죄 예방의 날로 제정했다. 인터넷 발달과 스마트폰의 대..
일본정부는 2013년 2월 ‘내각관방 영토주권대책 기획조정실’을 만들어 중앙정부 차원에서 독도영유권을 날조하여 선동활동을 시작했다. 첫째,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이후 “1945년 8월 포츠담선언 수락하여 1946년 1월 ..
요즘 많은 청소년들이 아무 거리낌 없이 욕설이나 학교폭력에 집단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고 있고, 사춘기를 겪는 10대의 특성 때문에 부모는 혼란스러움을 겪는 경우가 많지만, 신비에 싸여있던 인간의 뇌에 대한 비밀이 서서히 밝혀지면서 청소년기 행동..
최 장 근 ..
사람의 신체는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 덕분에 대부분 밝혀졌지만, 두뇌만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세계이다. 두뇌에는 1000억 개가 넘는 뇌세포가 있고, 총 0조~100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져서 많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무한한 양을 외울 ..
‘만약에 인류가 멸망한다면 전쟁이 아니라 바이러스 때문일 것이다’ 불과 몇 년전까지만 해도 정말 그럴까 하는 의구심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어떠한가, 이름도 생소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온 세계가 비..
독도는 고대시대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영토적 권원을 바탕으로 국제법상 한국의 고유영토이다. 그런데 일본은 일제 강점기에 침략한 영토에 대해 영토적 권원을 날조하여 독도가 일본영토라고 우기고 있다. 시마네현은 지난 2월 22일 제15회 ‘죽..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최근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 법안이 통과 되면서 국회 진출을 노리는 정당이 늘어나고 이와 더불어 예비후보자 등록 또한 여느때보다 많아진 상황이다. 이뿐만 아니라 선거권 연령이 만 18세로 하향되면서 선거권자의 범위 또한 늘어났다. 정당..